이미지 출처: TMDB 공식 이미지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중증외상센터'는 기존 메디컬 드라마의 틀을 깨고, 액션과 풍자를 결합해 새로운 장르로 진화한 작품입니다.
‘우린, 계속 뛰어야 한다!’는 캐치프레이즈처럼 빠른 전개, 거침없는 연출, 그리고 유쾌한 에피소드로 시청자를 단숨에 사로잡았습니다.
전쟁터를 누비던 에이스 외과의사 백강혁(주지훈)이 한국대학교병원 중증외상팀을 부활시키는 과정을 중심으로, 신입 펠로우 양재원(추영우)과의 좌충우돌 시너지가 극의 큰 재미를 이끕니다.
공개와 동시에 넷플릭스 국내 1위를 기록하며 화제를 모았고, 비영어권 드라마 중 글로벌 TOP1까지 오르며 장기 흥행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실적 악화로 폐지 위기에 놓인 한국대학교병원 중증외상팀. 이곳에 전쟁지역과 민간군사기업 블랙윙즈까지 거치며 전 세계를 돌던 외상외과 에이스 백강혁(주지훈)이 보건복지부 장관(김선영)의 전폭적인 추천으로 부임합니다.
부임 첫날부터 '셔터 내리러 왔다'고 말하는 그의 목표는 간판뿐인 외상팀을 진짜 ‘중증외상센터’로 바꾸는 것.
그는 환자를 살릴 수 있다면 어디든 달려가는 무대뽀 정신과 신들린 수술 스킬로 모든 위기를 돌파해 갑니다.
첫 수술은 칼에 찔린 조폭, 이후에는 산악 조난 환자를 구조헬기를 타고 현장까지 날아가 수술하며 전설을 쓰고, 교통사고 피해자에게는 간과 신장 이식을 동시에 진행하는 등 매회 극강의 응급상황이 연속됩니다.
그를 따라 항문외과에서 외상외과로 강제 전직(?) 당한 펠로우 양재원(추영우)은 처음엔 겁 많고 교과서적인 인물이지만, 강혁의 스타일에 휘말리며 전투형 외과의사로 진화해 갑니다.
극 중반, 중증외상팀의 운영에 가장 부정적이던 항문외과 과장 한유림(윤경호)의 딸이 교통사고로 중태에 빠진 채 병원에 실려오고, 백강혁은 ‘수술 불가’ 판정을 받은 심장파열 환자였던 딸을 직접 수술해 기적적으로 살려냅니다. 이 사건을 계기로 한유림은 백강혁에게 무릎을 꿇고 감사를 전하고, 이후 중증외상센터의 든든한 조력자로 변모하게 됩니다.
외상팀은 남수단으로 파병되며 전쟁터에서 총상 환자를 치료하고, 귀국 후 대형 화재 사고에 투입된 백강혁은 부상을 입게 됩니다. 하지만 양재원의 판단으로 수술은 성공, 드디어 백강혁의 숙원이던 닥터헬기가 도입되며 시즌을 마무리합니다.
전개는 빠르고, 수술은 리얼하며, 대사와 캐릭터는 강렬하고 웃기고 짜릿합니다.
백강혁 (주지훈)
한국대학교병원 외상외과장 겸 중증외상센터장. 싸가지 없고 거칠지만, 실력, 신념, 사명감 모두 최상위 클래스.
블랙윙즈, 국제평화의사회 출신이라는 이력처럼, 실제 전쟁터에서도 생명을 살려낸 ‘메딕의 전설’입니다.
겁도 없고, 체면도 신경 안 씁니다. 수술실이 곧 전장이며, 살아있는 환자가 그의 존재 이유입니다.
양재원 (추영우)
외상외과 펠로우. 항문외과에서 중증외상팀으로 낚여(?) 들어온 1호 제자. 처음엔 유약하고 교과서적이지만, 백강혁의 수술과 마인드에 빠지며 외상외과 전사로 변모해 갑니다.
프라다 정장을 입고 회식에 등장하거나, 중환자 앞에서 항문이라 불리면서도 고군분투하는 모습은 진지하면서도 웃깁니다. 실제로는 로또 당첨으로 부자가 된 설정까지 포함되어 있습니다.
천장미 (하영)
중증외상팀 5년 차 시니어 간호사. 실력과 카리스마 모두를 겸비한 센터의 핵심.
백강혁에게 ‘조폭’이라 불리며, 위급상황에선 센터를 ‘뚫겠다’고 선언할 정도의 추진력을 보여줍니다.
수술 중엔 누구보다 침착하며, 파쿠르 수준의 운동신경으로 응급 이송까지 해내는 만능 캐릭터입니다.
한유림 (윤경호)
항문외과장. 초반에는 백강혁을 방해하는 내부 빌런이었지만, 딸의 응급 수술로 인해 백강혁에게 마음을 열고 진심으로 돕는 조력자로 전환됩니다. 병원 정치와 실력 사이에서 갈등하다 ‘사람을 살리는 것’의 본질을 되찾아가는 인물입니다.
박경원 (정재광)
마취통증의학과 레지던트. 선배들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백강혁의 수술을 도우며 신뢰를 얻습니다. 무표정하고 침착한 성격 덕에 누구보다 안정적인 마취를 진행하며, 극 후반부엔 백강혁의 정신을 담은 웹소설 작가가 되겠다고 선언합니다.
- 제목: 중증외상센터
- 형식: 시리즈 드라마 (8부작)
- 러닝타임: 회당 약 60분
- 공개 연도: 2025년 1월 24일
- 제작국: 대한민국
- 감독: 이도윤
- 출연: 주지훈, 추영우, 하영, 윤경호, 정재광 외
- 장르: 의학, 드라마, 코미디, 휴먼, 액션, 스릴러, 사회고발
- 주제 키워드: 외상외과, 무대뽀, 환자 중심, 병맛, 팀플레이
- 방영 플랫폼: 넷플릭스 오리지널
‘중증외상센터’는 원작 소설 『중증외상센터 : 골든아워』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일부 설정은 드라마에서 축약되거나 생략된 반면, 연출적 극대화가 더해진 장면도 많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양재원 캐릭터입니다.
드라마에서는 양재원이 회식에 ‘프라다 정장’을 입고 나타나거나, 해외 파병 시 “여권에 도장 찍어본 적 없다”는 언급이 있어 현실적으로 맞지 않는 설정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원작에 따르면 양재원은 부모님의 로또 당첨과 땅 재개발로 인해 갑작스러운 부자가 된 인물이며, 그 정장은 실제로 어머니가 사준 것이라는 배경 설명이 있습니다.
하지만 드라마에선 해당 정보가 생략되어 시청자들이 설정을 의아하게 받아들이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또한 외과 레지던트 시절 너무 바빠 돈을 쓸 시간이 없었다는 설정도 원작 기반의 배경으로, 드라마 속 양재원의 현실과 엇갈리는 부분을 보완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런 차이는 시청자들이 캐릭터를 더 입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중증외상센터’는 기존 한국 의학 드라마와는 궤를 달리합니다.
로맨스와 신파를 과감히 삭제하고, 빠르고 짜릿한 에피소드 중심으로 극을 전개합니다.
병원은 더 이상 차분한 공간이 아니라, 매 회를 클라이맥스로 이끄는 ‘응급전장’이 됩니다.
무대뽀 스타일의 천재 외과의사 백강혁과, 좌충우돌 제자 양재원이 만들어내는 케미는 코믹하면서도 묘하게 감동적입니다. 특히 매회 새로운 수술과 극단적인 상황, 강혁 특유의 방식은 히어로물에 가까운 통쾌함을 전달합니다.
단순한 히어로물의 짜릿함에, 현실 의료 시스템에 대한 결코 가볍지 않은 풍자가 곁들여진 이 작품은 ‘병맛과 감동’을 절묘하게 버무린 한국형 메디컬 액션 드라마입니다.
공개 직후 국내 넷플릭스 시리즈 1위, 비영어권 TV쇼 부문 글로벌 1위, 누적 시청수 3,100만 회 돌파라는 기록은 이 작품의 흥행성을 동시에 인정받았습니다.
주지훈은 이 작품으로 제61회 백상예술대상에서 방송부문 최우수 연기상을 수상했고, 추영우 역시 남자 신인 연기상을 받으며 강렬한 인상을 남겼습니다.
작품성과 대중성을 모두 잡은 드라마로서, 시즌2에 대한 기대가 벌써부터 높아지고 있는 이유입니다.
시즌2가 제작된다면, 한국형 메디컬 드라마의 새로운 표준이 될지도 모릅니다.
빠르고, 강하고, 통쾌한 전개를 좋아하는 시청자라면 반드시 추천하고 싶은 작품입니다.
넷플릭스 대한민국 - 인터넷으로 시리즈와 영화를 시청하세요
스마트 TV, 태블릿, 스마트폰, PC, 게임 콘솔 등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영화와 시리즈를 마음껏 즐기세요.
www.netflix.com
※ 본 콘텐츠는 2025년 기준 작성되었으며, 스트리밍 플랫폼은 추후 변동될 수 있습니다.
※ 디즈니+는 콘텐츠 확인이 제한되어 본 글에서는 제공 여부를 명시하지 않았습니다.
'📂 드라마·영화 리뷰 > 한국 드라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이로운 소문 시즌1ㅣOCN 시청률 신화, 한국형 초능력 드라마의 탄생 (0) | 2025.05.11 |
---|---|
다시 보고 싶은 명작 드라마 BEST 5 – 시간이 지나도 기억에 남는 이야기 (0) | 2025.05.09 |
언더커버 하이스쿨 드라마 몇부작 등장인물 결말 줄거리 OTT 다시보기 (0) | 2025.05.06 |
드라마 지금 우리 학교는 줄거리 – 좀비 아포칼립스와 인간성의 충돌 (0) | 2025.04.24 |
티빙 드라마 아일랜드 줄거리 - 김남길 이다희 차은우 퇴마 판타지 (0) | 2025.04.23 |